목록spring-boot/errors (5)
Cronex

이 전 디버깅과 동일하게 진행되다가 dispatcherServlet에서 HandleAdapter의 handler 메소드를 실행하며 몇 개의 클래스를 더 거쳐서 controller를 실행됩니다. 이제 작성한 서비스에서 에러를 던지면 위에서 보이는 catch 블록으로 들어오게 됩니다. dispatcherServlet 에서는 catch문에서 dispatchException에 서비스에서 던진 에러를 할당하고 processDispatchResult를 실행한다. processDisptchResult에서는 handler를 찾아서 processHandlerException()을 호출한다. 여기서 핸들러[ mappedHandler.handler ]는 아래서 볼 수 있듯이 패키지를 포함하여 method 이름 인자까지 포함..

spring-boot 와 vue로 프로젝트 중 vue에서 request를 보내면 405 error를 발생시키면서 method "POST"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로그를 보았다. 하지만 작성한 api는 POST였고... 무엇이 문제인지 모른 채 있다가, 겨우.. 해결하였다. 결론 결론부터 말하자면, 해당 api 에서 특정상황에서 exception을 발생시키는데 exception 발생 시 내부적으로 servlet path = "/error" 로 forward하는데 따로 설정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error path를 지원하는 메소드는 GET, HEAD 였고 api요청으로는 POST로 던졌기 때문에 "POST /error" 로 인식되어 method POST 는 지원하지 않는다는 exception을 발생시키며 st..

이전글 : https://cronex.tistory.com/23 spring-boot 와 vue 이용하여 프로젝트 생성하기 spring boot 와 vue를 이용하여 프로젝트 생성하기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된 계기는 김영한님의 JPA 강의를 들으면서 vue도 다시 공부할 겸, thymeleaf 말고 vue를 이용하여 개발을 해보자 하여 시작하게 cronex.tistory.com 프로젝트를 생성 후 front-end에서 build한 결과물을 back-end 내 resources 하위에 static 폴더와 함께 생성하는 구조까지 만들었었습니다. 이 후 vue에 vue-router를 추가하면서 문제가 발생하였는데, build 후 spring-boot로 서버를 띄웠을 때 최초 localhost:8080/ [ind..

spring boot 와 vue를 이용하여 프로젝트 생성 시 webpack-dev-server를 띄웠을 때 브라우저 콘솔에서 이러한 오류가 발생할 때가 있다. 해당 오류는 webpack-dev-server proxy를 설정하면서 ws 설정에 의해 발생한 오류인데, 간단하게 proxy를 설정해준 vue.config.js 에서 proxy로 설정한 path에 ws: false options을 추가해주면 된다. 설정 후 dev-server를 다시 띄워보면 사라진것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 https://velog.io/@blessole/%EC%98%A4%EB%A5%98-Vue.js-WebSocket-connection-to-wsws-failed-Invalid-frame-header

Intellij 에서 프로젝트 실행 후 stop 을 눌러 종료할 때 console에 이런 오류가 발생할 때가 있는데, gradle build 할 때 gradle을 사용해서 발생하는 오류이다. settings에서 gradle을 검색해보면 Build Tools -> Gradle이 보이는데 여기서 Build and Run 값에 Gradle을 Intellij IDEA 로 변경해주면 된다. 이제 다시 main을 실행한 후에 종료해보면 오류가 사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